본문 바로가기
ETC

군대의 징병제와 모병제 차이

by Mi1Duck 2023. 12. 3.
반응형

국가 방위에 필요한 군대를 위해 군인을 모집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징병제와 모병제가 있다. 징병제는 법으로 정하고 의무적으로 일정기간 군복무를 하는 것이지만, 모병제는 자원입대하여 일정기간 군복무를 하게 된다. 지금은 과거와는 다르게 징병제를 실시한 국가들은 점차 모병제를 혼합하거나 점차 수를 늘려나가고 있다. 대다수 국가는 지금도 징병제로 군인의 수를 충족시키고 있다.

군대의 징병제와 모병제
차이

우리나라는 일정 나이가 되면 신체검사를 받고 군입대를 하여 정해진 기간동안 군복무를 하게 된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군입대를 하게 되고 피치못할 경우 대체복무를 통해 군복무를 대신하게 된다.
다른 국가의 경우 순수 자원입대만으로 군대를 유지하는 곳들도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이 그렇다.
천조국이라 불릴만큼 강력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순수한 자기 의지로 자원입대하여 군복무를 한다.
말이야 자유의지에 의한 자원입대지만, 미국의 경우 군입대를 독려하고 제대 이후 혜택 등을 강조하는 등의 마케팅을 하고 있다.
미국과 대립각이 강한 러시아와 중국은 어떨까?
병역법에 의해 기본적으로 징집을 하는 징병제를 실시하고 있기에 기본적으로 군대를 유지하는 군인의 숫자는 항상 채울 수 있다.
징병제와 모병제의 차이는 국가의 병역법에 의한 강제성에 있다.

의무적인 병역 징병제

징병제는 한 국가의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군대에 입대하여 일정기간 군복무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징병제란 단어의 의미를 살펴보자.
징병제는 한자로 徵兵制 ( 徵 부르다 징, 兵 병사 병, 制 지으다 제 ) 이며,
영어로는 the draft system 또는 the conscription system 이다. 비슷한 의미로 duty 가 있다.
징병제는 강제적이기 때문에 국가적 입장에서는 필요한 군인의 비율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다만, 개인 자유의 침해라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하는 경우들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에 징병제를 실시하는 국가에서는 강제적 의무적인 군복무를 법으로써 정하고 시행하고 제대 후 그에 합당한 보상을 해주는 것에 몰두하고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사회적 합의나 여론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자발적인 병역 모병제

모병제는 군인들이 자원입대하는 것으로 군대를 유지하는 제도를 말한다.
순수하게 자원하게 군대를 유지하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징병제 보다는 혜택과 복지 등이 다르다.
급여수준과 보너스 군제대 후의 복지 수준까지 다르다.
어쩌면 징병제보다도 혜택이 더 많을 수도 있다.
병역법에 대해 우리나라 군대와 미국 군대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차이가 현격하게 크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단순히 미국이란 천조국이기 때문이 아니라 징병제는 강제적인 군입대로 군을 유지하지만, 미국의 경우 군입대를 위한 마케팅부터 혜택 급여 등이 일반적인 기업 시스템과 비슷할 수도 있기 때문.
그렇기에 모병제를 실시하는 국가의 경우 군대 유지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람들을 모으고 있다.

차이는 개인의 자유의지

지금의 우리나라는 군대를 가면 바보라는 인식이 어느정도 생기고 뿌리내리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100% 징병제를 실시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모병제를 통해 전문 병과를 키우고 있기도 하다.
징병제 또는 모병제를 통해 군복무를 하는 것은 오롯이 본인의 몫이다.
단순히 생활비 때문에 군에 자원입대하는 경우도 있고, 군이 멋있기에 자원입대하는 경우들도 있다.
상황이 여의치 않다면 징병을 통해 군복무를 하고, 연장복무를 신청하여 머무를 수도 있다.
어쩌면 애국심과는 거리가 멀 수도 있겠지만, 군에 복무하는 것은 남들과는 다른 경험과 배움일 수도 있다.
어떤이는 신체등급이 1등급이지만, 대체복무를 통해 산업기능요원으로 가는 사람들도 있다.

우리나라는 징병제와 모병제를 함께 하고 있지만, 어차피 피할 수 없는 제도이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자신에게 맞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개인에게 맞지 않는 제도가 있고, 군복무란 부분이 있지만, 최소한 자신에게 맞는 방향과 길은 존재할 것이기에 기왕이면 병무청 홈페이지를 통해 여러가지 방향을 찾아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