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

신비로운 군대 화법 다나까체 어색한 분위기에서 대화가 가능한 마법의 말

by Mi1Duck 2023. 3. 11.
반응형

군대에서 사용하는 다나까체는 화자의 말의 끝이 다나까로 끝나는 것을 말한다. 모든 설명과 문장에는 다나까로 끝나면서 높임말로 순화된다. 다나까체의 효과는 상대를 높이면서 강호 어조로 확실한 의사표현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런 효과는 일상생활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어색한 분위기에서 편하게 인사하고 소소한 대화를 할 수 있는 긍정적 효과도 발휘한다.

신비로운 군대 화법 다나까체
어색한 분위기에서 대화가 가능한 마법의 말

군대라고 하면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독특한 화법에 관심도 생긴다.

문장의 끝은 항상 다나까로 끝나며 말 한마디를 하게 되더라도 긴장을 하게 된다.

말을 할 때 긴장을 한다는 것은 실수를 줄이고 상대방에 예의를 갖추는 긍정적이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중요한 것 하나는

어색한 자리에서 다나까로 끝나는 군대 화법은 편하게 인사말을 할 수 있는 마법의 힘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것도 기출변형이 있으니 말이란 신기하다.

상호존중의 다나까

군대 화법에 대한 기사를 읽어보면 이제는 다나까 에서 ~요 로 끝나는 화법도 허용된다고 한다.

분위기가 낮춰지는 느낌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그들 나름의 사정일 수 있다.

하지만, 다나까로 끝나는 문장구조는 강제적 상호준중이 되며, 기분 나쁜 상황이 되더라도 사람을 긴장시키며 실수를 줄이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기본적은 다나까체에는 인사말이 있는데 안녕하십니까? 란 문장도 여기에 속한다.

그럼에도 화법에 문장구조가 맞지 않는 경우 ~하지 말입니다. 란 마무리 문장으로 끝맺음을 낼 수 있다.

조금 답답한 화법임에는 분명하다.

그럼에도 강제적인 상호준중이 되는 긍정적인 효과는 부정할 수 없다.

이런 상황들은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데 ARS 전화 음성이 그렇고 서비스직에 있는 사람들의 화법이 그렇다.

영업직 또는 서비스직에 있는 사람들은 수시로 사람을 상대하기에 스트레스가 많지만 다나까체를 사용함으로써 스스로를 자제하고 존칭을 사용하게 된다.

명령조의 다나까

다나까체에서 상호존중이란 부분을 제외하면 명령어도 탈바꿈한다.

강한 어조의 다나까체는 명확한 의사전달을 의한 명령조로 바뀌면서 분위기는 험악해 질 수 있다.

사람들이 모여 같이 일하는 분위기에서 일상적인 관계는 수평적이고, 업무적인 관계는 수직적인 것이 맞다.

군대에서의 업무 또한 수직적이며 다나까체로 명령이 내려지면 분위기는 긴장될 수 밖에 없다.

여기서도 다나까체는 상급자가 하급자에 의사전달을 명확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나까체가 의외로 사람을 긴장하게 하기 때문이기도 한데, 역효과가 있다면 상급자가 화가 많이 나는 경우일 것이다.

아래는 군검사 도베르만에 나온 화가 아주 많이 난 조교의 다나까체 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유연하다

사람 만나기를 싫어하는 부류들도 다나까체는 어색한 분위기를 해소하고 편하게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질문 하나 하더라도 존칭어가 되며, 대화하는 문장에 대해 생각할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런 특유의 군대식 다나까체는 군대에서만 사용되지 않는다.

회사에서도 자주 사용되고, 영업사원들도 자주 사용하기도 한다.

기분 나쁜 경우에도 존칭을 해야 되는 강제적 분위기에서 다나까체는 유용할 수 있다.

특히, 일을 위해 만나던 친분을 위해 만나던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자리라면 다나까체 만큼 유용한 화법도 없다.

잘못된 사용 예

다나까체에 대한 장난도 없지 않다.

굳이 찾아보지 않으면 모르지만 드라마 우영우에서 나온 다나까체는 듣는 사람을 속 터지게 한다.

어쨌든 맺음말은 다나까로 끝나긴 하지만 상대방이 어른이라면 상황은 달라진다.

아래는 드라마 우영우에서 나온 다나까체에 대한 잘못 사용된 예시를 보여준다.

반응형

댓글